본문 바로가기

복습/Javascript

[Javascript] 객체지향 자바스크립트 [상속]

Inheritance

상속 (Inheritance)

자바스크립트는 클래스기반 언어가 아니기때문에 상속(Inheritance)이라는 기능이 없다. 하지만 프로토타입을 이용해서 상속을 구현할 수 있다.

ES6부터 추가된 class 라는 문법이 있지만 이는 문법이 추가된 것이지 클래스 기반으로 바뀌었다는 의미는 아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두가지의 상속방법이 존재한다.

  1. Classical 방식
  2. Prototypal 방식

classical 방식은 new 연산자를 통해 마치 JAVA 의 객체 생성방식과 비슷해 classical 방식이라 한다.
prototypal 방식은 Object.create() 메서드를 이용해 객체를 생성하고 확장하는 방식이다.

짚고 넘어가기

함수를 정의하면 일어나는 일 (Parsing)

  1. Func 라는 함수가 정의됐다.

    function Func(){}

    모든 함수 내에는 기본적으로 prototype 이라는 속성이 존재

  2. Func 의 원형객체 (FuncPrototypeObject) 가 생성된다.
    모든 함수 내의 prototype 속성은 해당 함수를 정의할 때 생성된 PrototypeObject 를 가리킨다.

     함수이름.prototype    ----> 함수이름 PrototypeObject
  3. Func 의 원형객체로 생성된 FuncPrototypeObject 내에는 constructor 라는 속성이 존재하며 Func 함수를 참조

    함수이름.prototype    ---->   함수이름 PrototypeObject
             함수      <----           constructor

    constructor 함수는 PrototypeObject 를 만든 함수를 참조

    function Func(){}
    console.log(Func === Func.prototype.constructor) // true
  4. 모든 함수와 객체에는 __proto__ 라는 속성이 존재하는데 의미하는 바는 자신을 만든 PrototypeObject 를 참조하는 숨겨진 링크이다

    function Func(){}
    const obj = new Func();
    console.log(obj.__proto__ === Func.prototype); // true

new 연산자를 하면 일어나는 일

function foo(){}
const obj = new foo();

자바스크립트 엔진에서 일어나는일

  1. 아무속성이없는 비어있는 객체 obj 를 만든다
  2. 이 때, objthis 값으로 설정됨
  3. this.__proto__ 속성이 foo.prototype 을 참조
  4. 다른것을 반환하지 않는다면 객체 this를 반환
  5. obj가 반환된 this(= fooObject) 를 참조
function foo(){
  // obj = {};
  // this.__proto__ = foo.prototype;
  // return this;
}

상속을 하자

앞의 prototype 짚고넘어가기 목차를 이해했다면 상속을 해보도록 한다.

프로토타입체인

부모의 객체를 생성한다.
자식이되는 함수의 prototype 이 부모함수로 생성한 객체를 참조한다.

Shape
  |
TwoDShape
  |
Triangle

이러한 상속을 구현하고싶다. 바로 예제로 넘어가자

// Shape
function Shape(){
  this.name = 'Shape';
  this.getName = function() { return this.name; };
}
// 2DShape
function TwoDShape(){ this.name = '2DShape';}
// Triangle
function Triangle(side, height){
  this.name = 'Triangle';
  this.side = side;
  this.height = height;
  this.getArea = function() {
    return this.side * this.height / 2;
  };
}
//상속을 구현하는 코드
TwoDShape.prototype = new Shape();
Triangle.prototype = new TwoDShape();

상속을 구현하는 코드를 보자.
TwoDShapePrototypeObjectnew Shape() 된 객체를 참조한다.
TrianglePrototypeObjectnew TwoDShape() 된 객체를 참조한다

const s = new Shape(); // Shape 생성
const td = new TwoDShape(); // 2DShape 생성
const t = new Triangle(10, 10); // Triangle 생성
 
console.log(t.getName()); // Triangle

t 에는 getName() 라는 메서드가 없다. getName() 어떻게 호출된것일까?

자바스크립트 내부 엔진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보자!

t 의 속성을 조회 -> getName() 없음
t.__proto__ 가 참조하는 this 객체를 상속과정에서 생성된 new TwoDShape() 로 본다.
TwoDShape의 인스턴스를 조회하고 getName() 을 찾지 못한다.
해당객체.__proto__ 가 참조하는 this 객체를 new Shape() 로 본다.
new Shape() 인스턴스 안에서 getName()을 찾았다. 호출한다.
이때 getName()의 this는 호출한 객체, t 에서 호출했으므로 this 는 t를 참조한다.

toString() 과 같은 내장 메서드들도 최상위객체인 Object 에 내장된 메서드이므로 __proto__ 의 프로토타입체인을 통해 호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하게되면 문제점이 생긴다.

console.log(s.constructor); // function Shape()
console.log(td.constructor); // function Shape()
console.log(t.constructor); // function Shape()

생성자가 전부 Shape 이다. 그 이유는 상속구현의 코드에 있다.

TwoDShape.prototype = new Shape();
Triangle.prototype = new TwoDShape();

Triangle.prototypenew TwoDShape()로 만들어진 객체로 덮어 씌워진다.
new Shape()를 통해 TwoDShape인스턴스가 생성됐다. TwoDShape 인스턴스.__proto__ 는 원래라면 TwoDShape 함수의 prototypeTwoDShapePrototypeObject 를 덮어씌우는 것이 정상이지만 TwoDShape 함수의 prototype 이 다시 new Shape()로 만들어진 객체로 덮어씌워진다.

new Shape()로 만들어진 객체의 __proto__Shape 함수의 prototypeShapePrototypeObject 를 참조하게되고 ShapePrototypeObjectconstructorShape 함수를 참조하게된다.

constructor 의 링크가 끊어진것이다. 이를 방지하기위해서는 다시 재설정해주는것이다.

TwoDShape.prototype.constructor = TwoDShape;
Triangle.prototype.constructor = Triangle;

이렇게 설정을 해주게되면 정상적으로 생성자가 출력될 것이다.

instanceof 연산자의 결과를 보자

console.log(instanceof Triangle); // true
console.log(instanceof TwoDShape); // true
console.log(instanceof Shape); // true

instanceof 의 정의를 살펴보자

object instanceof constructor

object : 테스트 대상인 오브젝트
constructor : 테스트할 함수

쉽게말하면 objectconstructor 객체다. 라는 말의 참 거짓을 Boolean 값으로 반환한다.
object의 prototypeconstructor의 prototype 이 일치하냐는 질문이다.

위에서 코드의 프로토타입체인 관계를 설명했으므로 하나씩 살펴보자

instanceof Triangle

t 는 Triangle 객체다.
-> t의 prototype 과 Triangle 의 prototype이 일치하냐?
-> t의 prototype 은 프로토타입체인에 의해 ShapePrototypeObject를 참조
-> Triangle 의 prototype도 프로토타입체인에 의해 ShapePrototypeObject를 참조
-> true

instanceof TwoDShape

t 는 TwoDShape 객체다
-> t의 prototype 과 TwoDShape 의 프로토타입이 일치하냐?
-> t의 prototype 은 프로토타입체인에 의해 ShapePrototypeObject를 참조
-> TwoDShape 의 prototype도 프로토타입체인에 의해 ShapePrototypeObject를 참조
-> true

instanceof Shape

t 는 Shape 객체다
-> t의 prototype 과 Shape 의 프로토타입이 일치하냐?
-> t의 prototype 은 프로토타입체인에 의해 ShapePrototypeObject를 참조
-> Shape 의 prototype도 프로토타입체인에 의해 ShapePrototypeObject를 참조
-> true

이 프로토타입 체인을 이해하는것이 핵심이다.

공유속성

위의 방법으로 계속 객체를 생성하면 자체 속성은 this 를 이용해 계속해서 추가한다.
100개의 객체가 있을 때 속성을 변경하지 않는경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
name 이라는 속성을 변경하고 싶지않은데 this.name으로 해놓는다면 생성할때마다 name속성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이럴 때, PrototypeObject 속성으로 name을 추가한다면 모든 인스턴스에서 공유를 한다

function Shape(){}
Shape.prototype.name = 'Shape';

이렇게 한다면 new Shape() 를 할 때마다 모든 인스턴스자체의 속성엔 name 속성이 존재하지않지만, 숨겨진 링크 __proto__를 통해 ShapePrototypeObjectname 속성에 접근하기 때문에 공유 할 수 있는것이다.

function Shape(){}
Shape.prototype.name = 'Shape';
Shape.prototype.toString = function(){ return this.name; };
 
function TwoDShape(){}
TwoDShape.prototype = new Shape(); // 상속
TwoDShape.prototype.constructor = TwoDShape; // 생성자 설정
 
TwoDShape.prototype.name = "2DShape"; // 상속이 끝난 뒤에 재설정

여기서 포인트는 상속이 끝난뒤에 name 속성을 추가해주는 것이다.
상속을 하기 전에 name 속성이 추가된다면, TwoDShape.prototype = new Shape() 구문을 통해 다시 덮어씌워지므로 무의미한 작업이 될 뿐만아니라 name 속성이 사라지게된다. 참고로 재설정이라는 단어로 인해 혼동이 올 수 있는데, 이는 TwoDShape.prototypename 속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name 속성이 TwoDShape.prototype 에 추가가되는것이다.

프로토타입만 상속

앞의 예제와 같이 new object() 로 생성한 객체를 통해 상속하는 방법은 생성한 객체의 자체속성만 제공한다. 모든 재사용 가능한 코드는 프로토타입에 있으므로
프로토타입을 상속하면 효율이 증가하지만 장단점이 존재한다.

function Shape(){}
Shape.prototype.name = 'Shape';
Shape.prototype.toString = function(){ return this.name; };
 
function TwoDShape(){}
//상속
TwoDShape.prototype = Shape.prototype;
TwoDShape.prototype.constructor = TwoDShape;
//보강
TwoDShape.prototype.name = '2DShape';
 
function Triangle(side, height){
    this.side = side;
    this.height = height;
}
//상속
Triangle.prototype = TwoDShape.prototype;
Triangle.prototype.constructor = Triangle;
//보강
Triangle.prototype.constructor = Triangle;
Triangle.prototype.name = 'Triangle';
Triangle.prototype.getArea = function(){
    return this.side * this.height / 2
};

위의 코드에서는 상속 부분의 코드에서 TwoDShape.prototype 이 가리키는 객체와 Shape.prototype 이 가리키는 객체가 동일한 객체를 가리킨다.
Triangle 도 마찬가지이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prototype을 공유하므로 부모나 자식의 prototype속성을 변경하면 상속관계이 있는 모든 객체의 속성에 영향을 받게된다.

var s = new Shape();
console.log(s.constructor); //  function Triangle () {}
console.log(s.name); // "Triangle"

같은 prototype 을 공유하기때문에 new Shape()임에도 불구하고 Triangle 의 보강에서 적용된 값이 출력된다.

임시생성자

위의 방법은 모든 프로토타입이 동일한 객체를 가리키고, 부모나 자식의 속성을 변경하면 모든 객체의 속성이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임시생성자를 이용하는것이다.

임시 생성자는 빈 함수 F() 를 생성하고, 이함수의 prototype을 부모 생성자의 prototype 으로 설정하면 new F()를 호출할 때 부모의 prototype의 모든것을 상속받은 객체를 생성 할 수 있다.

function Shape(){}
Shape.prototype.name = 'Shape';
Shape.prototype.toString = function(){ return this.name; };
 
function TwoDShape(){}
//상속
var F = function(){};
F.prototype = Shape.prototype;
TwoDShape.prototype = new F();
TwoDShape.prototype.constructor = TwoDShape;
//보강
TwoDShape.prototype.name = '2DShape';
 
function Triangle(side, height){
    this.side = side;
    this.height = height;
}
//상속
var F = function(){};
F.prototype = TwoDShape.prototype;
Triangle.prototype = new F();
Triangle.prototype.constructor = Triangle;
//보강
Triangle.prototype.name = 'Triangle';
Triangle.prototype.getArea = function(){
    return this.side * this.height / 2
};
var F = function(){};
F.prototype = Shape.prototype;
TwoDShape.prototype = new F();

위의 코드에서 빈함수 F 를 만든다. 이함수는 자체속성을 가지고있지않는다.
F.prototype 의 참조를 Shape.prototype 으로 설정한다.
TwoDShape.prorotypeF의 인스턴스로 덮어씌운다.new F()의 인스턴스에는 자체 속성이 존재하지않지만 Shape.prototype을 상속받은 객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프로토타입체인은 유지된다.

TwoDShape.prototype = new Shape();

위의 코드와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차이점은 아래의 방식은 Shape 의 자체속성도 물려받는다는것이고, 임시생성자 를 이용하면 자체속성은 물려받지 않고 prototype 을 물려받는것이다.

const t = new Triangle(5, 5);
console.log(t.__proto__ === Triangle.prototype) // true;
console.log(t.__proto__.__proto__ === TwoDShape.prototype) // true;
console.log(t.__proto__.__proto__.__proto__ === Shape.prototype) // true;

프로토타입 체인은 유지되는것을 볼 수 있다.

상위 클래스 저장

상위 객체의 원본을 저장하고 싶다면 _super 를 이용한다. 마치 다른 언어의 슈퍼클래스로 접근하는 것과 같다.

function Shape() {}
Shape.prototype.name = 'Shape';
Shape.prototype.toString = function() { return this.name; };
 
function TwoDShape() {}
var F = function () {};
F.prototype = Shape.prototype;
TwoDShape.prototype = new F();
TwoDShape.prototype.constructor = TwoDShape;
TwoDShape._super = Shape.prototype; // _super 속성 추가, 슈퍼클래스에 접근

함수로 만들어버리자

상속을 할 때 일일이 코드를 구현한다면 너무 귀찮은 일이다. 그래서 이 부분을 함수로 처리한다면 이것또한 재사용 가능한 코드가 된다.
inherit() 함수로 구현해보겠다.

function inherit(Child, Parent){
    var F = function() {};
    F.prototype = Parent.prototype;
    Child.prototype = new F();
    Child.prototype.constructor = Child;
    Child._super = Parent.prototype;
}
 
function Shape(){}
Shape.prototype.name = 'Shape';
Shape.prototype.toString = function(){ return this.name; };
 
function TwoDShape(){}
inherit(TwoDShape, Shape);
TwoDShape.prototype.name = '2DShape';
 
const td = new TwoDShape();
console.log(td.name); // "2DShape"

하지만 이렇게 inherit 함수를 구현하면 호출할 때마다 임시생성자함수 F가 생성되므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사실상 임시생성자의 역할은
prototype만 변경하면 되므로 클로저를 이용하여 다음과같이 표현할 수 있다.

var inherit = (function (){
    var F = function() {};
    return function(Child, Parent) {
        F.prototype = Parent.prototype;
        Child.prototype = new F();
        Child.prototype.constructor = Child;
        Child._super = Parent.prototype;
    }
})();

얕은 복사 (Shallow copy), 깊은 복사 (Deep copy)를 통한 상속패턴

얕은 복사는 부모의 멤버들을 순회하며 자식에 복사하는 것을 말한다.

function inherit(Parent, Child){
  var i;
  var Child = Child || {};
  for(in Parent){
    if(Parent.hasOwnProperty(i)){
      Child[i] = Parent[i];
    }
  }
  return Child;
}

Child 인자를 생략하면 기존 Child의 기능확장이아닌 새로운 객체가 생성된다.

var parent = {
    name: 'parent',
    count: [1, 2, 3, 4]
};
var child = inherit(parent);
console.log(child); // { name: 'parent', count: [ 1, 2, 3, 4 ] }
//

간단하게 속성들을 for...in 문으로 반복해서 복사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생긴다.

child.name = 'child';
child.count[0] = 100;
console.log(child.name); // 'child'
console.log(parent.name); // 'parent'
console.log(child.count); // [ 100, 2, 3, 4 ]
console.log(parent.count); // [ 100, 2, 3, 4 ]

name속성은 자식객체에서 변경을 해도 부모객체에 영향이 없었는데 배열은 영향이 생겼다.
속성이 객체나 배열, 함수일경우 참조(주소)만 전달을 하기때문에 같은 주소를 가리키게되므로
자식객체에서 속성을 변경하면 부모객체에서도 바뀌는 것이다.

여기서 count 라는 속성에는 배열이 들어있다. 이 배열의 주소를 예를들어 0x0001 이라고 한다면 위의 얕은복사에서
child.count 속성 에는 0x0001 이라는 주소가 복사가 되는것이다.
그리고 0x0001 주소는 [1, 2, 3, 4] 라는 배열을 가리키게되는것이기 때문에 결국엔 같은 배열을 가리키게되는것이다.
이러한 주소복사는 함수, 배열을 포함한 모든 객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런 현상을 이용하면 불필요한 메서드 중복이 발생하지 않을것이다. 객체나 배열일경우에는 깊은복사(deep copy) 를 이용한다.
깊은 복사의 방법은 복사 도중 속성이 객체라면 재귀함수로 내부의 요소에 접근해 복사하면 된다.

function inherit(Parent, Child){
  var i;
  var Child = Child || {};
  for(in Parent){
    if(Parent.hasOwnProperty(i)){
      if(typeof Parent[i] === 'object'){ // 1
        Child[i] = Array.isArray(Parent[i]) ? [] : {}; // 2
        inherit(Parent[i], Child[i]); // 3
      }else{
        Child[i] = Parent[i];
      }
    }
  }
  return Child;
}

1 번 구문 : Parent 객체의 i 번째 요소가 객체라면,
2 번 구문 : Parent 객체의 i 번째 요소가 배열이면 빈 배열[], 아니라면 빈 객체{}Childi 번째 요소에 할당
3 번 구문 : Parent 객체의 i 번째 요소와 2번 구문에서 할당된 새로운 객체나 배열속성 Child[i]를 재귀함수로 호출

실제로 깊은 복사가 이루어졌나 확인을 해보자

var parent = {
    name: 'parent',
    count: [1, 2, 3, 4],
    showCount: function(){
        return this.count;
    }
};
var child = inherit(parent);
 
console.log(child); // { name: 'parent', count: [ 1, 2, 3, 4 ] }
 
child.count[0] = 9999;
 
console.log(parent.showCount()); // [1, 2, 3, 4]
console.log(child.showCount()); // [9999, 2, 3, 4]
 
console.log(parent.showCount === child.showCount); // true

자식의 count[0] 을 변경해도 부모의 배열에는 영향이 없는 깊은 복사가 이루어진것을 확인했다.
또한 이 예제에서 확인할 수 있는것은 메서드도 객체이기 때문에 참조로인한 얕은 복사가 이루어져
마지막 출력값이 true로 같은 showCount를 가리키는것을 확인했다.

믹스인

만약 여러 객체의 속성을 한객체의 속성으로 모두 상속받고싶다면 믹스인을 이용하면된다.
사용방법은 상속받고싶은 여러개의 객체들을 함수의 인자로 받고, arguments 속성으로 모든 객체를 반복한다.
또한 중복되는 속성이 있다면 마지막으로 덮어씌운 속성으로 적용된다.

function multi(){
    var obj = {}, // 1
        stuff, // 2
        len = arguments.length;  // 3
    for(var j = 0; j < len; j++){ // 4
        stuff = arguments[j]; // 5
        for(var i in stuff){ // 6
            if(stuff.hasOwnProperty(i)) {
                obj[i] = stuff[i]; // 7
            }
        }
    }
    return obj;
}

1 번 : 빈객체 obj 생성
2 번 : arguments 를 순회할 때 arguments 의 각요소를 담기위한 변수
3 번 : arguments 의 길이, 즉 받은 객체의 개수
4 번 : arguments 의 길이만큼 반복
5 번 : stuffj 번째 arugments 객체 할당
6 번 : stuff 객체 반복
7 번 : obj 의 각요소에 stuff 요소 대입

var shape = {
    name: 'Shape',
    toString: function(){
        return this.name;
    }
};
 
var twoDee = {
    name: '2D Shape',
};
 
var triangle = multi(shape, twoDee, {
   name: 'Triangle',
   getArea: function(){
       return this.side * this.height / 2;
   },
    side: 5,
    height: 10
});
 
console.log(triangle.toString()); // "Triangle"
console.log(triangle.getArea()); // 25

multi() 함수를 호출해서 shapetwoDee, 그리고 리터럴방식으로 속성을 전달한것들을 모두 상속받는 triangle 객체이다.
name 속성은 마지막에 덮어씌워진 Triangle 이 name이 되었다. 믹스인 방식은 상속트리에 포함시키지 않으면서 모든 객체의 기능을 사용 할 수 있다.

생성자 빌려쓰기 + 프로토타입 지정

다음은 생성자를 빌려쓰는 방법으로 다중상속을 해보자.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희철";
}
Person.prototype.say = function(){ return this.name; };
 
Person.prototype.getName = function(){
    return this.name;
};
 
function Korean(name){
    Person.apply(this, arguments);
}
 
var kor1 = new Korean("익명");
console.log(kor1.name);
// console.log(kor1.say()); // error! say is not a function

Function.prototype.apply() 함수를 통해서 다른 생성자를 빌려썻다.
이 방법은 부모의 속성을 모두 물려받고, 또한 부모함수의 this 에 자식함수의 this 를 바인딩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모객체의 프로토타입 속성은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프로토타입을 지정해주면 된다.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희철";
}
Person.prototype.say = function(){ return this.name; };
 
Person.prototype.getName = function(){
    return this.name;
};
 
function Korean(name){
    Person.apply(this, arguments);
}
 
Korean.prototype = new Person();
 
var kor1 = new Korean("익명");
 
console.log(kor1.name); // 익명
console.log(kor1.say()); // 익명
 
console.log(kor1.__proto__.__proto__ === Person.prototype); // true
delete kor1.name; // kor1 객체내부 name 속성제거
console.log(kor1.name); // 희철

Korean.prototype = new Person(); 구문을 통해 프로토타입을 지정해주었다.
프로토타입이 연결됨에 따라 PersonPrototypeObject 의 속성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단점은 부모생성자가 두번 호출 됩니다. new Person() 한번 new Korean() 내부의 Person.apply() 한번.

delete kor1.name; 을 했을 때 그다음 출력값이 "희철"인 이유는 kor1 내의 속성에 name은 없지만 __proto__ 링크를 통해
Person 내의 name 속성을 찾아간것을 볼 수 있다.

기생상속 (parasitic inheritance)

기생상속은 다른 객체의 모든 기능을 가져온 후, 새로운 객체를 보강하고 이를 반환해 객체를 생성하는 함수이다.

function object(o){
    function F() {}
    F.prototype = o;
    return new F();
}
 
var TwoD = {
    name: "2DShape",
    dimensions: 2
};
 
function triangle(s, h){
    var o = object(TwoD);
    o.name = "Triangle";
    o.getArea = function() {
        return this.side * this.height / 2;
    };
    o.side = s;
    o.height = h;
    return o;
}
 
var t = triangle(5, 10);
console.log(t.dimensions); // 2
console.log(t.getArea()); // 25
 
var t2 = new triangle(10, 10);
console.log(t.dimensions); // 2
console.log(t.getArea()); // 50

new 연산자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는 일반 함수처럼 작동을 하기 때문이다. new 를 사용해도 정상적인 이유는
new 의 내부 동작을 알면 왜 그런지 알것이다.

var o = object(TwoD) 구문에서 굳이 object() 함수를 쓰지않아도, 모든 속성을 복사하는 다른 방법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앞서 말했던것처럼 다른객체의 모든기능을 가져오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Object.create() [prototypal 방식]

첫번째 인자로는 새로 만든 객체의 프로토타입이어야하는 객체
두번째 인자는 선택적이며, 생성하는 객체의 키를 초기화한다.

var shape = {
    name: "Shape",
    toString: function(){
        return this.name;
    }
};
 
var&nnbsp;twoDShape = Object.create(shape, {name: {value: "2DShape"}});
twoDShape.name = "2DShape";
 
console.log(twoDShape); // {}
console.log(twoDShape.name); // "2DShape"
console.log(Object.getOwnPropertyDescriptors(twoDShape));
/*
{ name:
   { value: '2DShape',
     writable: false,
     enumerable: false,
     configurable: false } }
 */
 
twoDShape.name = "no";
console.log(twoDShape.name); // 2DShape
console.log(twoDShape.__proto__ === shape); // true

twoDShape.name = "no"; 구문을통해 변경했는데 "2DShape" 로 출력됐다. 그이유는 해당 키의 속성중 writable: false 이기 때문에 변경할 수 없는것이다.

Object.create() 를 통해 간편하게 상속을 구현하는것을 봤다.

아무말 대잔치
  • 상속은 코드재사용의 일부분일 뿐이라는것을 알앗다.
  • 솔직히 이거 글 너무 목차가 난잡함.
  • 상속은 실제로 내가 코드를 써보며 해보는게 더 빨리 적응할것같다.
  • 설연휴를 갖다바칩니다.
참고문서

http://www.nextree.co.kr/p7323/
http://unikys.tistory.com/320
https://github.com/yamoo9/front-end-angular-camp/blob/master/Reference/js-07-reusable-pattern.md#%ED%81%B4%EB%9E%98%EC%8A%A4-%EB%B0%A9%EC%8B%9D%EC%9D%98-%EC%83%81%EC%86%8D-%ED%8C%A8%ED%84%B4-5--%EC%9E%84%EC%8B%9C-%EC%83%9D%EC%84%B1%EC%9E%90
http://superjang.com/archives/2535
https://github.com/yoosoo-won/yoosoo-won.github.io/wiki/%EC%BD%94%EB%93%9C-%EC%9E%AC%EC%82%AC%EC%9A%A9-%ED%8C%A8%ED%84%B4
http://hostmasterzone.info/parasiticinheritance.html